발행일: 2004.04.30, 257p, 칼라인쇄,
출판: 한국퀸테센스출판(주)
목차
1.노인의 치아상태와 보철상태에 대한 역학연구 1 자활능력이 있는 노인 허약한 노인이나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
2.연령에 따른 저작기관의 변화 치아조직 치주조직 구강점막
3.저작기능과 영양 저작기능 노인의 영양과 식습관 영양상태, 저작기능 및 보철치료의 필요성 보철치료 및 예방적인 구강 위생 방법
4.노인환자를 위한 보철치료계획 일차적 목적 치료필요성과 치료 요구도 확인 위험인자의 확인 치료의 선택 치료계획 수립시 치료방법 결정 포괄적인 구강평가와 치료계획
5.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위한 보철치료 계획 치료계획의 일차적 목표 치료 필요성과 요구 파악 구강치료계획 구강건강 관리모형에 대힌 평가 법적, 윤리적 고려사항 치료계획과 구강건강 관리 전달체계를 뤼한 모형
6.고정성 보철치료 치료시 전반적인 고려사항 치주 상태 및 부착 상실 근관치료적 고려사항과 수복물을 위한 코아 형성 기존 수복물과 잔존 치질의 건전성 교합면 마모를 보이는 환자의 치료
7.가철성 보철치료 국소의치의 분류 생역학적인 설계 원칙 생물학적 설계 원칙 국소의치 설계의 원칙 교합면 온레이를 이용한 국소의치의 기능적 문제점과 대처 Implant와 가철성 의치를 이용한 치료 요양소에 있는 환자의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8.치근지지 피개의치 적응증 치근을 보존하는 장점 피개의치의 단점 노인환자에게 특별히 적용하기 좋은 경우 치료계획 피개의치 치료 피개의치의 예후
9.무치악 환자의 치료 기존의치 검사 전문의에게 의뢰 즉시 총의치 기존의치의 수정 기존의치를 복제한 대체의치 새 의치 제작 Implant 지지 총의치
10.치료 후 예반법과 유지관리 치아우식 예방법 치주질환의 예방법 구강점막염증의 처치 캔디다 연관 의치구내염의 처치 구강위생과 유지관리 구강위생 간병인 교육
특징
이 책은 Budtz-Jorgensen 교수가 수행했던 광범위한 연구의 결집체이다. 이 책에서는 노년에 생길 수 있는 구강질환의 병인론부터 유지관리까지 논리적인 단계로 서술되어 있다.
치료개념은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에 직결되어 있다는 최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있다. 가철성 국소의치부터 임프란트 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치료방법과 그 적응증이 망라되어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을 넘어선 그 무언가가 있다.
저자의 경험이 각 장에 펼쳐져 있어서 독자가 책을 읽어 나가면서 치료에 대한 철학을 접할 수 있을것이다. 노인에 대한 보철치료가 어려운 주된 까닭은 각 환자에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기가 쉽지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의사 결정과 윤리적인 문제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노인 치과학은 보철전문의 뿐만 아니라 일반 개원의에게도 차츰차츰 더 중요한 분야가 되고있다.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점차 증가하는 노년층을 치료하는데 용기와 확신을 가질 것이다. |